1. 기업 개요
롯데정밀화학은 1964년 8월 27일 설립되어 한국 화학산업의 발전과 역사를 함께해 온 기업입니다. 초기 일반화학 사업에서 출발하여 고부가가치 정밀화학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 스페셜티 케미칼 전문기업으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주요 정보:
• 설립일: 1964년 8월 27일
• 대표이사: 김용석
• 본사 주소: 울산광역시 남구 여천로 217번길 19
• 임직원 수: 917명 (2023년 12월 기준)
• 홈페이지: https://www.lottefinechem.com/
2. 주요 사업 분야 및 제품
롯데정밀화학은 다양한 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셀룰로스 계열 제품
• 메셀로스(MECELLOSE®): 건축용 기능성 첨가제
• 헤셀로스(HECELLOSE®): 산업용 첨가제
• 애니코트(AnyCoat®): 의약용 캡슐 원료
• 애니애디(AnyAddy®): 식품 및 산업용 첨가제
2.2. 염소 계열 제품
• 에피클로로히드린(ECH): 에폭시 수지 원료
• 가성소다: 산업용 기초 화학물질
• 염화메탄: 메틸클로라이드 등
2.3. 암모니아 계열 제품
• 암모니아: 비료 및 산업용 원료
• 유록스(EUROX®): 디젤 차량용 요소수
• 디메틸아민(DMA): 농약 및 제약 중간체
이러한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롯데정밀화학은 산업 전반에 걸쳐 필수적인 화학 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3. 글로벌 네트워크 및 생산 기지
롯데정밀화학은 국내외 다양한 거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울산사업장: 주요 생산 기지
• 서울사업장: 마케팅 및 경영 지원
• 인천사업장: 특수 화학 제품 생산
• 중국법인: 상하이 소재, 아시아 시장 대응
• 유럽법인 및 T/S센터: 독일 소재, 유럽 시장 대응
이러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롯데정밀화학은 전 세계 고객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최근 주요 이슈 및 전략
4.1. 스페셜티 사업 집중 및 그린소재 1위 도약
롯데정밀화학은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여 그린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효율적인 사업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4.2. 암모니아 사업 경쟁력 강화
최근 정관에 ‘선박 대여업’을 추가하여 암모니아 운송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암모니아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4.3. 경영진 변화
2025년 3월 20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승원 부사장이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되었습니다. 또한, 김기순 상무와 윤희용 상무가 각각 ESG경영본부장과 케미칼사업부문장으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5. 결론
롯데정밀화학은 지속적인 혁신과 전략적 투자를 통해 글로벌 그린소재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스페셜티 케미칼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FAQ
Q1. 롯데정밀화학의 주요 제품은 무엇인가요?
• A1: 메셀로스, 헤셀로스, 애니코트 등의 셀룰로스 계열 제품과 ECH, 가성소다 등의 염소 계열 제품, 암모니아, 유록스 등의 암모니아 계열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Q2. 최근 롯데정밀화학의 전략적 변화는 무엇인가요?
• A2: 스페셜티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암모니아 운송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박 대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였습니다.
Q3. 롯데정밀화학의 ESG 전략은 무엇인가요?
• A3: 친환경 소재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안전한 사업장 구축, 투명한 지배구조 운영 등을 포함한
종합적 ESG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 중입니다.
• 친환경 원료 도입 확대
• 폐수 및 배출가스 저감 기술 도입
•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강화를 통한 신뢰 확보
Q4. 롯데정밀화학의 글로벌 전략은 어떤 방향인가요?
• A4: 중국, 유럽 등 주요 거점에 법인과 T/S 센터를 운영하며,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 및 물류 효율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Q5.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 A5: 고기능성 셀룰로스 및 암모니아 기반 사업 확대,
그린소재 중심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ESG·탄소중립 대응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고수익, 저탄소, 고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익머트리얼즈 (Wonik Materials):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특수가스 공급 기업 (0) | 2025.03.22 |
---|---|
KG모빌리언스(KG Mobilians) 기업 분석: 전자결제 서비스 선도 기업 (0) | 2025.03.21 |
비에이치 (BH): 글로벌 FPCB 시장의 선도 기업 (0) | 2025.03.21 |
LG디스플레이 (LG Display):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의 선도주자 (0) | 2025.03.21 |
에이디테크놀로지 (ADTechnology): 혁신적인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의 선두주자 (0) | 2025.03.21 |